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코칭과 멘토링에 학습의 심리학 적용

학문적 관점에서 세 가지 주요 요소 성찰 학습은 학습자의 이해를 중요시하므로 구성주의적 발달 이론과 일맥상통한다. 두 이론 모두 과거의 경험이 현재와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여기서 변화를 위한 자발적 매개체는 내적 담화, 즉 성찰의 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는 것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이해 프레임워크를 재구성함으로써 미래의 방향을 설정한다. 코칭과 멘토링의 패러다임은 미래지향적이다. 그러나 피코치자와 멘티는 미래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심리적 장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목표가 현재를 기준으로 한 이상향과 희망을 의미한다면, 미리 점검하지 못한 요소로 인해 장벽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코치자는 미래가 너무 이질적이고 위협적으로 보인다고 호소할 수 있다. 한편 코치나 멘토가 조성하는 코..

카테고리 없음 2023. 1. 4. 21:56
구성주의적 발달이론의 중요요소

의미형성 의미는 구성주의적 발달 이론의 매우 중요한 요소다. 에빙하우스의 주장과 달리, 저자는 의미가 학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케건에 따르면 의미란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는 기초적 인간 동작이며 세 가지 수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인지적 수준에서 본다면, 의미를 파악하고 처리하는 것은 학습의 필수 요소다. 데이비드 오스벨은 자신이 고안한 유의미 수용 학습 이론의 핵심은 인지적 조직화와 의미의 처리라고 했다. 유의미 수용 학습 이론에 따르면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일종의 위계질서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일반적 지식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기억해 내기 쉽고, 구체적 지식은 하부에 위치하여 기억해 내기 어렵다. 이러한 구조가 바로 학습의 기초를 이루며 이 구조에 새..

카테고리 없음 2023. 1. 4. 01:56
성찰학습 및 구성주의적 발달 이론

성찰은 중요한 변화 원동력 학습은 기본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한다. 성찰과 행동을 통해 새로운 의식을 형성, 즉 의식화하여 변화할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을 제약하는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고 지식과 성찰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해방 학습을 얻게 된다. 앞서 보았듯이 콜브의 학습 사이클에서 성찰은 학습 과정에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원동력이다. 성찰 없이 사람은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없으며 자기 확인의 반복 속에서 느끼는 동일한 감정과 이해만 계속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성찰이란 개인이 실제로 그 사건이 일어난 상황에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인지적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경험을 떠올리며 성찰을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성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

카테고리 없음 2023. 1. 3. 19:40
학습과정을 위한 학습바퀴 모델

구체적 경험 콜브의 학습사이클을 기본으로 했으나 일부 요소의 위치는 저자의 코칭, 멘토링 경험에 근거하여 변경했다. 경험을 통해 저자는 학습이 학습자와 코치, 멘토가 상호 교류하는 구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학습바퀴는 구체적 경험, 성찰, 추상적 개념화, 행동을 바탕으로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학습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어떤 사건을 경험해야 한다. 구체적 경험은 학습자가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을 터득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성찰 성찰은 코칭과 심리학에서 전문적 학습 및 발달을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로서 매우 중요하다. 어떤 사건을 경험한 후에 학습자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되돌아볼 시간이 필요하다. 경험을 통해 터득한 교훈을 되돌아보는 것도 좋은 학..

카테고리 없음 2023. 1. 3. 02:13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jkim85603@gmail.com | 운영자 : 존킴킴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